창조경제는 맨손이나 열정으로만 달성되는 것이 아니다. 경쟁자를 앞서갈 무기를 갖추어야 한다. 창조적인 조직에는 그들만의 마인드와 정체성이 있다. 지식재산을 경영의 하나로 볼 줄 아는 눈과 문화적인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제품 내지 서비스, 그리고 내부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소통의 기술과 학습 조직이 그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잘 버무려졌을 때, 제대로 된 창조기업으로서의 맛을 낸다고 본다. 이 책을 통해 다양한 IP 전략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세대학교에서 물리학과 법학이라는 인문계와 이공계의 핵심 전공학과를 졸업하고, 이 두 학문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분야인 지식재산(특허와 발명)의 발전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지식재산 전문 공공기관인 한국발명진흥회에 투신한지 10년이 되었다. 경영기획실의 법무담당으로 시작하여, 우리나라의 지식재산 정책과 특허행정을 경험하고, 기업의 특허부서 협의체인 한국지식재산협회의 창립과 운영을 담당하면서 우리나라의 지식재산 발전에 일익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지적재산협회(JIPA), 미국지적재산보유자협회(IPO), 비즈니스 유럽(BE)과의 국제협력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대학원 시절 [청소년성범죄자의 신상공개제도]등의 연구 활동에도 참여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지식재산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등에 연구협력관으로도 활동하였다. 더불어, 책읽기를 즐겨한 덕에 기관의 독서경영담당자겸 전사교육담당자로도 활약했으며, 현재는 아름다운 삶을 위한 고전독서 프로그램 운영 등 독서마스터로서의 경력도 쌓아가고 있다.
서론. 권리로서의 지식재산권
Chapter 1. 위대한 기업을 만드는 IP전략
1. CEO는 CEO가 만든다!
2. 위기경제 시대의 미래경영
3. 엘 시스테마, 베네수엘라 경제학자의 조직경영론
4. 문화가 경제보다 우선이다
5. 창의성, 개인이 아닌 전체에 붙이는 이름
Chapter 2. 성장하는 조직을 위한 IP전략
1. 성장하는 조직의 비밀, 학습
2. 한국 기업의 대표적인 특허전략은 무엇입니까?
3. 원칙과 기본에 충실한 특허조직 만들기
4. 변화를 관리하는 기업
5. 특허와 디자인의 만남
6. 사람을 키워야 할 때
7. 기획자입니까, 관리자입니까?
Chapter 3 세계의 IP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1. 경제회복 이후의 심사적체
2. 공부하는 일본
3. 위기를 넘어서
4. 씨애틀에서 만난 여름보다 뜨거운 IP 연수의 현장
5. 한국의 지식재산이 소통을 시작하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