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판이 사라져가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위한 『한국의 이야기판 문화』. 10여 년간 20세기 소설가 김유정과 김유정문학을 기리는 김유정기념사업회가 《김유정문학촌 이야기마을 조성 방안》을 주제로 관련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자들을 초빙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에 걸쳐 열어온 김유정학술회의에서 발표된 논문을 모은 것이다. 김유정문학촌 개관 10주년에 맞춰 발간되었다. 이야기판을 인간의 삶과 관련시켜 조명하면서 다양한 논의를 펼친다. 아울러 서로 다른 시각 3가지로 김유정과 김유정문학을 조명하고 있다.
저자 김유정기념사업회는 김유정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기리고 체계적으로 집약하고 그것의 구체적 활용을 위해 김유정학술회의를 진행해 왔으며 그동안의 축척된 이론과 그 활용 전략을 통해 김유정의 고향인 실레를 이야기기가 있는 이야기산업의 중심의 특화된 문화마을로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발행도서로 「김유정문학의 재조명」(2008, 소명출판)과 「한국의 웃음문화」(2008, 소명출판)가 있다.
서문
책을 내며
제1부|이야기판의 구조와 인간의 삶
1장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_심우장
2장 이야기판에서 웃음의 작동 원리_이강엽
3장 문헌설화와 구비설화 인물 형상의 비교를 통한 이야기의 변화_홍태한
4장 사라져가는 이야기판의 새로운 길 찾기_박현숙
제2부|이야기꾼과 이야기판의 과거와 현재
1장 전문 이야기꾼의 전통_천혜숙
2장 18 · 19세기 이야기꾼과 소설의 발달 _ 임형택
3장 사대부의 삶과 이야기 문화_이강옥
4장 한국 재담문화의 역사와 계보_이보형
5장 전통 이야기꾼의 유형과 성격 연구_신동흔
6장 이야기꾼 사례 고찰_황인덕
제3부|김유정과 이야기판
1장 이야기꾼 이후의 이야기꾼_최원식
2장 김유정의 이야기꾼들_유인순
3장 김유정 소설과 이야기판_전신재
제4부|부록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러, 스토리텔링 페스티벌, 스토리마을_박정애
이야기판 관련 논저 목록
필자소개